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Tip of Mom75

2022년 새학기 등교 여부 확인해 볼까요? | 오미크론 대응 학교 방역 및 학사 운영 방안(교육부 발표) 오미크론 대응 학교 방안과 학사 운영 방안(새 학기 등교 여부) 안녕하세요 엄마가 알고 싶은 정보, 알아야 하는 정보를 담고 있는 경단맘입니다. 지난 포스팅에서도 언급했듯이 오미크론의 확산세가 높아지면서 정부의 방역체계로 완전히 달라졌습니다. 정부의 새로운 방역체제를 알고 싶으시다면 제 앞전 포스팅을 확인해 주세요 오늘은 정부의 방역체계가 달라지면서 함께 달라진 학교 내 방역체계에 대해서도 알아보겠습니다. 그리고 그에 따른 새 학기 등교 여부까지 함께 알아볼게요.. 다음의 자료들은 2022년 2월 7일에 있었던 교육부 발표 내용을 근거로 포스팅합니다. 핵심 변화? [학교의 방역 및 학사 운영 체계의 전면 정비] 오미크론 확산에 대비하여 학교의 방역 및 학사 운영 체계의 전면 정비를 통해 지역, 학교 중심.. 2022. 2. 8.
제 20대 대통령 선거 | 거소 투표와 선상투표에 대해 알아볼까요? 제20대 대통령 선거 (거소투표, 선상투표) 안녕하세요. 엄마가 알고 싶은 정보, 알아야 하는 정보를 담는 경단맘입니다. 오늘은 올해 우리나라의 가장 큰 행사인 대통령 선거에 대해 알아볼게요. 올해는 제20대 대통령 선거가 있는 날입니다. 제 20대 대통령 선거는 2022년 3월 9일(수)입니다. 선거는 최고의 사람을 뽑는 게 아니라 최선을 사람을 뽑는 거라는 아시죠. 뽑을 사람 없다며 선거에 참여하지 않으시면 절대 안 된다는 말씀을 먼저 드리면서 오늘은 피치 못할 사정으로 당일 선거를 할 수 없는 사람들을 위한 "거소 투표"와 "선상 투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거소 투표란? 투표소에 가서 투표를 할 수 없는 선거인 등이 자신이 머무는 병원, 요양소, 자택 등에서 우편으로 투표할 수 있는 제도입니다... 2022. 2. 4.
변경된 코로나 19 진단 검사 체계 알아 볼까요? 변경된 코로나 19 진단 검사 체계 안녕하세요? 한해가 시작된지 한달이 지났네요. 2년전 시작되었던 코로나는 올해도 변이를 일으키며 저희 곁에서 떠날 생각을 하지 않고 있어요. 뿐만 아니라 최근 변이된 오미크론은 전염속도가 너무 빨라 1일 확진자도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으니 모두 건강에 유의하세요. 하루하루 확진자도 늘어나고 검사자도 늘어나니 정부도 이 상황에 맞추어 새로운 코로나 19 검사 진단 체계를 도입하였는데요. 오늘은 새로운 변화된 코로나19 진단 검사 체계에 대해 알아볼께요. 새롭게 변화된 진단 검사는 체계는 2022년 2월 3일 오늘부터 시행된다고 합니다. 새로운 코로나 19 진단 검사의 특징은? 현재까지는 누구나 코로나 검사 진단를 선별진료소에서 PCR검사로 진행했습니다. 하지만 오미크론 확.. 2022. 2. 3.
❤무료❤로 내가 원하는 새해 모바일 연하장 만들기!! 모바일 새해(구정) 인사말(연하장) 새해가 시작한 지 얼마 지나지 않았다고 생각했는데.. 벌써 1월이 다 지나가고 있네요. 새해를 시작하면서 계획했던 모든 일들은 잘 이뤄가고 있으신가요? 작심 3일로 끝나셨다면 다시 음력 새해가 있으니 재 시도해 보시면 좋을 듯합니다. 오늘은 이런저런 바쁘다는 핑계로 새해에 인사를 못 드렸던 지인분들에게 구정 때라도 인사를 드리기 위해 연하장을 만들어 봤는데요.. 혹시 저처럼 새해에 인사를 드리지 못해 구정 때라도 인사를 드리려고 하시는 분들을 위해 모바일 연하장 만드는 방법과 새해에 어울리는 편지지나 쪽지를 무료로 만들 수 있는 사이트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새해 연하장의 종류(모바일 연하장, 새해 편지지, 새해 엽서 등) 먼저 캘리글라피 글씨로 만든 모바일 새해 인사.. 2022. 1. 23.
우리 모두는 무료 보험에 가입되어 있다.(feat. 시민안전보험) 시민안전보험 이제 보험 하나쯤 없는 사람은 없다. 하지만 막상 다치거나 아플때 보험을 찾아보면 내가 든 보험이 나에게 딱 맞는 보험은 아니였다. 그리고 알게 모르게 노치고 있는 보험금도 많이 있다. 시간이 지난 후 아~~그 때도 보험금 받을 수 있었던거 아니였나?가 하며 아쉬워 한다. 그런 보험금 중에 하나가 "시민안전보험"이다. 시민안전보험은 개인 누구나 들어져 있는 보험이지만 보험금을 직접 납부하지 않기 때문에 모르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오늘은 이 "시민안전보험"에 대해 알아볼려고 한다. 시민안전보험이란? 지방자치단체가 관장하고 보험‧공제사가 운영하는 보험으로 일상생활 중 예상치 못한 재난·사고 당한 시·도민의 생명·신체 피해를 보상하여 피해자가 일상으로 복귀 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는 보장제도입니다.. 2022. 1. 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