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Study with Mom121

비상수학 교과서 개념잡기 초등수학2-2 비상수학 교과서 개념잡기 언제 사용했나요? 비상 초등 수학 교과서 개념잡기 2-2는 초등 2학년용으로 나온 학년 문제집입니다. 아들은 8세때 플라토 B단계(도형문제집),수학독해 B단계(서술형/문장제 수학문제집)를 푼 후 풀었습니다. 하지만 이 문제집을 먼저 풀고 수학독해B단계를 풀었으면 좋았겠다 싶었습니다. 책의 구성은 어떻게 되어 있어요? 문제집은 총 3권으로 메인교재와 베이직 북 그리고 정답과 설명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교재의 차례는 수학 초등교과서 2-2와 동일하며 메인교재의 각 단원을 구성하는 스타일을 보면 단원의 시작과 마무리는 만화를 이용하여 개념을 익히고 기억할 수 있도록 합니다. (학교 교과서도 이런식으로 구성되어 있죠) 그런 다음 활동등을 통해 교과서 개념을 익혀 갑니다. 이때 교과서 .. 2021. 9. 18.
초등 교과서 둘러보기 | 1학년 2학기 가을 교과서(교과서 수록동요, 전래동요) 1학년 2학기 가을 교과서 (교과서 수록 동요) 교과서 둘러보기 여섯 번째 이야기입니다. 가을 교과서는 봄 교과서, 여름 교과서를 1학기에 배우고 2학기에 바로 배우는 교과서입니다. 가을 교과서도 예전 바른생활(주황), 슬기로운 생활(연두), 즐거운 생활(핑크)이 통합된 교재로써 매 차수마다 제목에 어느 영역에 속해 있는지 색깔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가을 교과서는 크게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첫 번째로는 "내 이웃 이야기"입니다. 우리 주변에서 만날 수 있는 이웃을 알아보고 식당 . 버스, 길에서 어떤 규칙을 지켜야 하는지를 배웁니다. 그와 더불어 옛날 이웃들은 어떻게 모였는지 알아보고 나눔 장터나 일상에서 함께 나누는 일상도 배웁니다. 또한 이웃에게 도움이 필요할 때 필요한 행동들도 함께 배웁.. 2021. 9. 14.
초등 교과서 둘러보기 | 1학년 2학기 수학교과서 1학년 2학기 수학 교과서 오늘은 1학년 2학기 수학 교과서를 포스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2학기 수학에는 100까지의 수, 덧셈 뺄셈, 여러 가지 도형(평면도형), 시계, 규칙 등을 배웁니다. 1,2학기 커리큘럼을 다 보고 조금 의아했던게 3단원 여러 가지 모양에서 입체도형(원기둥, 사각기둥, 공)을 1학기에 먼저 배우고 평면도형(네모, 세모, 동그라미)을 2학기에 배우는 것이었습니다. 왜 평면을 먼저 안 배우고 입체를 먼저 배울까?라는 생각이 들었는데 이유를 찾지는 못했습니다. 단원 3개로 분리되어 있는 덧셈과 뺄셈은 덧셈과 뺄셈(1)에서는 올림 없는 두 자릿수+두 자릿수, 덧셈과 뺄셈(2)에서는 세수의 덧뺄셈, 덧셈과 뺄셈(3)에서는 올림과 내림이 있는 덧뺄셈을 배우게 됩니다. 5단원 시계 보기에서는.. 2021. 9. 11.
초등 독해력 향상을 위한 메가스터디 1일 1독해 1단계 후기[교재정보, 가격정보, 내돈내산후기] 메가스터디 1일 1독해 1단계 언제 사용했나요? 메가스터디 1일 1독해 1단계는 초등 1~2학년용으로 나온 초등독해문제집입니다. 저희 아들은 8세때 기탄국어 E단계를 풀고...기탄국어에 논픽션(사실을 근거하여 쓴 작품)글이 너무 없다는 생각이 들어서 그 부분을 보완하는 교재를 찾던 중 선택하게 된 교재입니다. 책의 구성은 어떻게 되어 있나요? 메가스터디 1일 1독해는 3단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단계는 1~2학년용으로 세계 나라 이야기(사회), 동물 이야기(과학), 감정 이야기(국어), 과학 이야기(과학) 총 4권으로 구성되어 있고 2단계는 2~3학년용으로 과학 이야기(과학),세계 나라 이야기(사회), 세계 명작 이야기(국어)로, 3단계 3~4학년용으로 과학 이야기(과학), 우리 몸 이야기(과학), 우.. 2021. 9. 7.
초등교과서 둘러보기] 1학년 1학기 국어 교과서(수록동화,수록동요) 1학년 1학기 국어교과서 교과서 둘러보기 네번째 이야기,1학년 1학기 국어 교과서입니다. 국어 교과서는 가,나,국어활동 세권으로 구성되어 있고 가,나는 순서대로 국어활동은 가나와 함께 수업하도록 이루어져 있습니다. 1학년 국어 교과서는 한글 교과서라고 해도 될 만큼 한글을 읽고 쓰는데,집중되어 있습니다. "가"는 읽고 쓰기 활동을 할때 바른 자네,연필 바로 잡는 방법이, 연필 잡는 힘을 기르기 위한 줄긋기 연습을 시작으로 자음, 모음, 자음과 모음을 합쳐 글자 만들기를 배웁니다. 그리고 나면 "다정하게 인사해요"에서 상황과 상대에게 맞는 인사법을 배우고 끝이 납니다 그리고 국어 교과서 "나"는 받침 있는 글자(이 단원에서 의성어 의태어를 배웁니다)를 시작으로 그림을 보고 문장을 만들고 문장을 쓰고 읽는 .. 2021. 9. 2.
반응형